하드디스크(HDD) | - DBMS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는 현재 대부분 HDD이다. - 용량, 비용, 성능의 관점에서 대부분 하드디스크를 사용한다 - 그렇게 좋은 장점도 없지만 그렇게 나쁜 단점도 없는 미들웨어다 |
||
메모리 | - 디스크에 비해 비용이 매우 비싸다 - 따라서 하드웨어 1대에 탑재할 수 있는 양이 작다(많아도 100GB가 안넘음) - 따라서 규모있는 상용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내부 데이버를 모두 메모리에 올리는건 불가능하다 |
||
버퍼 | : 성능향상을 목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버퍼(buffer) or 캐시(cache)라 한다 - 완충제라는 의미이다 - DBMS가 굳이 데이터를 메모리에 올리는것은 성능 향상 때문이다 따라서 자주 접근하는 데이터는 메모리에 올려둔다 - 사용자와 저장소 사이에서 SQL구문의 디스크 접근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- 물리적인 접근인 하드디스크와는 다르게 매우 빠른 접근이 가능 |
||
데이터 캐시 | : 디스크에 있는 데이터의 일부를 메모히에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메모리 영역 - 만악 실행하는 데이터가 데이터 캐시에 있다면 디스크와 같은 저장소에 접근하지 않고 처리가 수행돼 매우 빠르게 응답한다 |
||
로그 버퍼 | DBMS는 갱신 처리 구문(INSERT, DELETE, UPDATE, MERGE)을 사용자로부터 받으면, 바로 저장소에 있는 데이터를 변경하지 않는다 로그 버퍼 위에 변경정보를 보내고 이후 디스크에 변경을 수행한다 |